반응형 stp port status1 STP 포트 상태와 토폴로지 변화 ○스패닝 트리는 포트의 상태를 차단(Blocking),청취(Listening),학습(Learning),전송(Forwarding)및 비활성(Disabled)상태로 분류한다. -포트가 활성화되면 역할에 따라 청취 또는 차단상태가 된다. 즉, 활성화된 포트의 역할이 루트 또는 지정포트이면 바로 청취상태가 된다. 활성화된 포트의 역할이 대체포트이면 바로 차단상태가 된다. -어떤 상태에서건 포트에 STP 관련 에러가 발생하거나 비활성화되면 비활성 상태가 된다. -대체포트가 루트포트 또는 지정포트로 역할이 변경되고, 기본적으로 20초인 maxage가 경과하면 청취상태로 변경된다. -루트포트 또는 지정포트가 대체포트로 역할이 변경되면 즉시 차단상태가 된다. -청취상태의 루트포트 또는 지정포트가 기본적으로 15초인 전.. 2021. 9. 18. 이전 1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