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○Two-Arm 구성:네트워크에 부하분산 장치를 끼워 넣는 패턴이다.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통신 경로에 부하분산 장치를 배치하기 때문에, 통신 제어가 쉽고 알기 쉬운 구조. 구성이 간단해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장애 대처가 쉽고 관리가 쉽다. 부하분산을 하든 안 하든, 부하분산 장치를 거치는 구성이 될 수 밖에 없어 유연성이 떨어진다.
Client === 부하분산장치 === Server
○One-Arm 구성:One-Arm구성은 네트워크에 부하분산 장치를 더하는 구성이다. 스위치와 부하분산 장치 사이는 다수의 물리 접속을 하나의 논리적 접속으로 합쳐서 연결하기에 이중화 구성이 가능하다. One-Arm 구성은 부하분산 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트래픽만 부하분산 장치가 처리하도록 구성하기에 부하분산 장치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.
Client === Switch === Server
||
부하분산장치
○대규모 시스템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고려해 One-Arm 구성을 선호한다. 중소규모시스템에서는 간단하고 관리하기 쉬운 Two-Arm 구성이 적합하다.
반응형
'IT > cisc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P(spanning tree protocol) (0) | 2021.09.17 |
---|---|
부하분산장치 논리구성 (0) | 2021.09.17 |
SSL 가속(Acceleration) (0) | 2021.09.17 |
Application Switching (0) | 2021.09.17 |
Persistence (0) | 2021.09.1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