○스위치간 링크는 대부분 이중으로 구성한다. 이중화는 많은 장점을 가지지만 이더넷 프레임 루프(loop)가 발생할 수 있다. 루프가 발생하면 스위칭이 되지 않는다. 이를 방지해주는 것이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(STP,spanning tree protocol)이다. STP가 동작하면 물리적으로 루프 구조인 네트워크에서 특정 포트를 차단상태로 바꾸어 루프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.
○이더넷 프레임 루프가 발생하면 해당 VLAN뿐만 아니라 다른 VLAN에 접속된 장비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. CPU,DRAM,대역폭 등 스위치 자원들이 VLAN별로 할당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VLAN에 접속된 장비들의 동작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.
○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BPDU(bridge protocol data unit)라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루프가 없는 경로를 구성한다. BPDU는 설정(configuration)BPDU와 TCN(topology change notification)BPDU 두 종류가 있다.
필드 | 크기(Byte) | 내용 |
프로토콜 (protocol) ID | 2 | 항상 0 |
버전 (version) | 1 | BPDU의 버전 표시. STP:0, RSTP:2, MSTP:3 |
타입 (type) | 1 | BPDU 종류 표시. 0x00:설정 BPDU |
플래그 (flag) | 1 | 토폴로지 변화 표시. 0x01:TC, 0x80:TCA |
루트 브리지 (root brigde) ID | 8 | 루트 스위치의 ID |
경로값 (path cost) | 4 | 루트 스위치까지의 경로값 |
브리지 (bridge) ID | 8 | 루트 스위치로 가는 경로상 직전 스위치의 스위치 ID |
포트 (port) ID | 2 | 포트 ID |
메시지 에이지 (message age) | 2 | 루트 스위치까지의 스위치 수. IP의 TTL값과 유사 |
맥스 에이지 (max age) | 2 | BPDU정보를 저장하는 시간 |
헬로 타임 (hello time) | 2 | BPDU 전송 주기 |
포워드 딜레이 (forward delay) | 2 | 청취상태와 학습상태에 머무르는 시간 |
○스위치는 설정 BPDU를 이용하여 루트 스위치를 선출하고, 스위치 포트의 역할을 지정한다. 설정 BPDU는 항상 루트 스위치가 만들며, 다른 스위치들은 다음 스위치로 중계한다.
○브리지 ID에서 사용하는 우선순위(priority)값은 0~65535이다. 브리지 ID는 기본 우선순위(priority) + 확장 시스템 ID(VLAN 번호) + MAC주소로 생성된다. (ex:VLAN 1 + priority 32768 + mac 0000.0000.aaaa = 브리지 ID 32769 + 0000.0000.aaaa)
○경로값 (path cost)이란 포트의 속도별로 IEEE에서 미리 정해 놓은 값을 말한다. 속도가 빠를수록 경로값이 작다.
속도 (bandwidth) | 경로값 (path cost) | |
10 Mpbs (ethernet) | 100 | |
100 Mbps (fastethernet) | 19 | |
1 Gbps (gigaethernet) | 4 | |
10 Gbps (10gigaethernet) | 2 |
○BPDU에서 사용하는 경로값은 경로상에서 루트 스위치까지의 경로값을 합산한 값이다.
○포트 ID는 BPDU를 전송하는 스위치의 포트 우선순위와 포트번호로 구성된다. 포트 우선순위의 기본값은 128이다.
필드 | 크기(Byte) | 내용 |
프로토콜 (protocol) ID | 2 | 항상 0 |
버전 (version) | 1 | BPDU의 버전 표시.STP:0, RSTP:2, MSTP:3 |
타입 (type) | 1 | BPDU 종류 표시. 0x80:TCN BPDU |
○TCN BPDU는 스위치의 링크가 활성화되거나 다운되는 등 네트워크 변화 발생시 이것을 루트 스위치에게 보고할 때 사용한다.
'IT > cisc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P 포트 상태와 토폴로지 변화 (0) | 2021.09.18 |
---|---|
STP 동작 방식 (0) | 2021.09.18 |
부하분산장치 논리구성 (0) | 2021.09.17 |
부하분산장치 물리구성 (0) | 2021.09.17 |
SSL 가속(Acceleration) (0) | 2021.09.17 |
댓글